HiEarth_HH's Blog

블록체인(Block Chain)의 역사 본문

투자(Investment)/블록체인(Block Chain)

블록체인(Block Chain)의 역사

HiEarth_HH 2025. 6. 17. 19:09

한눈에 타임라인

연도 사건 의미
1991 해버-스토넷타 논문 해시 체인 개념 발판
2008 비트코인 백서 탈중앙 전자화폐 설계
2009 제네시스 블록 네트워크 가동 시작
2010 1만 BTC 피자 실물 가치 교환 최초
2015 이더리움 론칭 스마트 컨트랙트 시대
2016 DAO 해킹 온체인 거버넌스 시험
2017 ICO 붐 & BCH 자금조달 폭발·스케일 논쟁
2020 DeFi 급성장 탈중앙 금융 인프라
2021 NFT 열풍 디지털 자산 문화화
2022 이더리움 Merge 친환경 PoS 전환
2024 현물 BTC ETF 제도권 투자 물꼬

 

블록체인은 1991년 ‘디지털 문서에 타임스탬프를 찍는 방법’에서 아이디어가 움틀고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의 비트코인 백서로 실전에 투입된 뒤, 탈중앙 결제(비트코인)→스마트 컨트랙트(이더리움)→ICO · DeFi · NFT · PoS 전환→제도권 ETF 승인까지 30 여 년간 단계적으로 진화해 왔어. 지금은 전력소모·규제·프라이버시 같은 숙제를 풀면서, 모듈식 블록체인·CBDC·실물자산 토큰화(RWA) 쪽으로 방향타를 돌리는 중이야.


1. 개념의 태동 (1991-2007)

1-1. 디지털 타임스탬프

1-2. 전자화폐 실험

  • 1990년대 후반의 e-cash·b-money 같은 시도들은 완전한 무신뢰 합의에 실패했지만, ‘전자서명+P2P’라는 퍼즐 조각을 던졌어(백서가 이 논의를 잇는다). bitcoin.org

2. 비트코인 시대 (2008-2014)

2-1. 비트코인 백서 (2008)

  • “CPU 파워 과반이 정직하다면 이중지불을 막을 수 있다”는 해시 기반 PoW 모델이 제시됐어. bitcoin.orgussc.gov

2-2. 제네시스 블록 (2009.01.03)

  • ‘The Times 03/Jan/2009…’ 문구가 새겨진 0번 블록이 채굴되며 체인이 가동됐지. en.bitcoin.it

2-3. 피자데이 (2010.05.22)

  • 라슬로 한예츠가 1만 BTC로 피자 두 판을 사며 첫 실물 결제가 이루어졌고, 매년 ‘Bitcoin Pizza Day’가 기념돼. en.bitcoin.itas.com

3. 스마트 컨트랙트의 탄생 (2015-2016)

3-1. 이더리움 ‘프런티어’ 론칭 (2015.07.30)

  • 튜링 완전한 EVM과 자체 통화 ‘이더(ETH)’를 담은 메인넷이 올라가면서, 블록체인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월드컴퓨터’로 확장됐어. en.wikipedia.org

3-2. DAO 해킹 & 하드포크 (2016)

  • 1.5억 달러 상당의 ETH가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으로 유출되자, 커뮤니티는 하드포크(Ethereum vs Ethereum Classic)로 분열돼 거버넌스 이슈를 드러냈어. gemini.com

4. 확장과 갈등 (2017)

4-1. ICO 붐

  • 2017년 한 해에 800 개 이상 ICO가 약 200억 달러를 끌어모으며 ‘토큰 이코노미’ 열풍을 일으켰지만, 과대광고·사기 논란도 컸어. forbes.com

4-2. 비트코인 캐시 하드포크 (2017.08.01)

  • 블록 크기 논쟁 끝에 ‘Bitcoin Cash(BCH)’가 갈라져 나와 확장성·탈중앙성 균형 문제를 상징했어. investopedia.cominvestopedia.com

5. 기업·컨소시엄 진출 (2016-2019)

  • 리눅스재단의 Hyperledger Fabric이 2017 v1.0을 내놓으며 프라이빗 체인 표준을 제시했고, lfdecentralizedtrust.org
  • IBM·마스터카드 등은 공급망 추적·위조 방지에 블록체인을 실전 투입했어. ibm.comhorsesforsources.com

6. 디파이(DeFi) 전성시대 (2020)

  • 자동 마켓메이커(AMM)·예치-대출 프로토콜이 급증하면서 TVL(예치 총액)이 2020 하반기에 수십 억 달러에서 수백 억 달러로 폭발했어. defillama.com

7. NFT로 대중문화 진입 (2021)

  • 비플의 ‘Everydays’ NFT가 크리스티 경매에서 6,900만 달러에 낙찰되며 블록체인 콘텐츠가 주류 미술 시장에 들어왔어. theverge.compress.christies.com

8. 친환경·합의 업그레이드 (2022)

  • 이더리움은 ‘머지(Merge)’로 PoW→PoS 전환을 완료, 에너지 사용을 약 99% 절감하고 블록 처리 속도를 단축했어. sciencedirect.comwww2.deloitte.com

9. 제도권 편입 (2023-2024)

10. 2025 이후 전망

  • 모듈식·레이어2: 데이터 현실성(DA)·실행(Exec)·결제(Settle)를 분리한 체인과 롤업이 성능·비용을 낮춰.
  • RWA 토큰화: 채권·부동산·탄소배출권을 체인 위에 옮겨 유동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활발해.
  • CBDC·규제 프레임: 각국 중앙은행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화폐를 파일럿 중이고, 규제기관은 자금세탁·소비자 보호를 놓고 균형점을 탐색하고 있어.

 

 

이렇게 역사와 흐름을 짚어두면, 앞으로 어떤 기술·정책 변화가 시장 판도를 바꿀지도 예측하기 쉬워질 거야. 궁금한 포인트가 있으면 언제든 더 물어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