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통해 서버, 저장소,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하는 컴퓨팅 자원의 집합을 말해.
즉, 물리적인 데이터센터를 ‘가상화’해서 언제 어디서든 접근 가능한 컴퓨팅 환경을 만들어주는 인프라야.
✅ 한 줄 요약
“클라우드 인프라는 컴퓨터를 빌려 쓰는 방식의 가상 공간이자,
물리적인 서버 없이도 앱, 웹,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게 해주는 IT 기반 시설이다.”
1️⃣ 클라우드 인프라의 구성 요소
🖥 컴퓨트(Compute) |
가상 서버 (VM), 컨테이너, CPU 자원 제공 (예: AWS EC2, Azure VM) |
💾 스토리지(Storage) |
데이터 저장 공간. 객체 저장소, 블록 저장소 등 (예: Amazon S3) |
🌐 네트워크(Network) |
가상 라우팅, IP, 방화벽, DNS 등 연결 인프라 |
🧠 관리 도구 |
모니터링, 자동 확장, 보안 설정, 로드 밸런서 등 |
📡 API/플랫폼 서비스 |
DB, AI, DevOps, 보안 등 다양한 플랫폼 기능도 함께 제공됨 |
2️⃣ 클라우드 인프라의 특징
💸 필요한 만큼만 쓰고 요금 지불 (Pay-as-you-go) |
|
🚀 즉시 생성/삭제 가능 (빠른 확장성) |
|
🌍 지리적 제약 없이 접근 가능 (인터넷만 있으면 OK) |
|
🔒 보안 및 백업 관리 체계 내장 |
|
🔧 물리적 장비 관리 불필요 – 서버를 직접 설치할 필요 없음 |
|
3️⃣ 주요 제공 모델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가상 서버, 저장소 제공 |
AWS EC2, Azure VM |
PaaS |
Platform as a Service – 앱 실행 플랫폼 제공 |
Heroku, Google App Engine |
SaaS |
Software as a Service – 완성된 소프트웨어 제공 |
Gmail, Dropbox, Notion |
4️⃣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 업체 (빅 3)
AWS (Amazon Web Services) |
세계 최대, 서비스 다양도 최강 |
Azure (Microsoft) |
MS 제품과 연동 우수, 기업 친화적 |
GCP (Google Cloud Platform) |
AI/ML 기능 강력, 빅데이터 최적화 |
5️⃣ 온프레미스 vs 클라우드 인프라
항목 |
온프레미스(직접 구축) |
클라우드 인프라 |
서버 설치 |
직접 해야 함 |
가상으로 사용 가능 |
유지비용 |
고정비용 발생 |
사용량 기반 비용 |
확장성 |
하드웨어 추가 필요 |
클릭 몇 번이면 OK |
설치 시간 |
며칠~몇 주 소요 |
몇 분 안에 완료 가능 |
📱 실생활 예시
웹사이트 배포 |
AWS EC2로 서버 만들고 S3에 정적 파일 올림 |
모바일 앱 백엔드 |
Firebase를 사용해 실시간 데이터 저장 |
회사의 회계 시스템 |
Azure SQL + 가상 네트워크로 운영 |
AI 모델 훈련 |
GCP에서 TPU 자원 활용해 대규모 학습 진행 |
🎯 정리 요약
클라우드 인프라는 인터넷 위에서 언제든지 서버·저장소·네트워크 자원을 빌려 쓸 수 있게 해주는 가상의 컴퓨팅 환경이며,
디지털 서비스, 앱, AI, 게임 등 현대 기술의 기반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