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Earth_HH's Blog

[컴퓨터 과학, CS] 🌍 인터넷 발전 역사 본문

컴퓨터 과학(CS, Computer Science)/컴퓨터 과학(CS, Computer Science)

[컴퓨터 과학, CS] 🌍 인터넷 발전 역사

HiEarth_HH 2025. 4. 9. 19:05

🧠 1. 인터넷의 기원 (1960~1970년대)

연도사건설명

 

1969 ARPANET 시작 미국 국방부가 군사 목적의 분산형 네트워크 개발. 인터넷의 시조
1973 TCP/IP 프로토콜 개발 컴퓨터 간 통신을 위한 핵심 언어. 지금도 사용됨
1976 첫 이메일 전송 @가 포함된 주소 체계 등장. 이메일 시대 시작
1978 BBS (게시판 시스템) 유저끼리 텍스트 기반 소통 시작

☝ 이 시기엔 인터넷이 군사/연구 기관 중심, 아주 제한된 네트워크였어.

 


🔧 2. 인터넷의 기초 완성기 (1980~1990년대 초)

연도사건설명

 

1983 ARPANET이 TCP/IP로 전환 → 오늘날 인터넷 구조 탄생  
1984 DNS(Domain Name System) 도입 → www.google.com 같은 주소 체계 시작  
1989 월드와이드웹(WWW) 제안 (by 팀 버너스리)  
1991 웹 브라우저 등장 (세계 최초 웹페이지: CERN 연구소)  
1993 모자이크(Mosaic) 브라우저 출시 → 대중화 시작  

🌱 이 시기가 인터넷의 뿌리를 정리한 시기!
도메인, URL, 웹브라우저, 하이퍼링크 같은 개념들이 다 여기서 나왔어.

 


🚀 3. 인터넷 대중화의 폭발기 (1995~2005)

연도사건설명

 

1995 마이크로소프트, 넷스케이프 등 브라우저 경쟁  
1998 Google 창립 – 검색 방식 혁신  
1999 Wi-Fi 표준화 → 무선 인터넷 가능  
2000년대 초 ADSL, 광랜 등 초고속 인터넷 보급  

💻 이 시기부터 PC방, 블로그, 이메일, 카페 같은
일반인의 인터넷 사용이 본격화됨


📱 4. 스마트폰 + 클라우드 시대 (2007~2020)

연도사건설명
2007 아이폰 출시 → 모바일 인터넷의 시작  
2010년대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 전성기  
2015~ 클라우드 컴퓨팅(AWS, Azure) + 빅데이터 가속  
5G 등장 실시간 스트리밍, IoT 활성화  

이젠 사람들이 컴퓨터보다 스마트폰으로 더 많은 인터넷 활동을 하게 됨.

 


🤖 5. 현재와 미래 (2020~)

분야설명

 

🌐 AI 중심의 인터넷 ChatGPT, Copilot, 생성형 AI가 인터넷 구조에 통합됨
클라우드 전환 모든 데이터가 '내 컴퓨터'가 아닌 '인터넷 위'로 이동
📡 6G,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 등으로 세계 어디서든 인터넷 가능화 진행
🌎 인터넷 접근 평등화 개발도상국, 산간 지역에도 보급 중

🌐 인터넷 망과 역사 함께 요약해볼게

[1969] ARPANET (미군 통신망) 
[1983] TCP/IP 체계 → 지금의 인터넷 구조
[1990] WWW, 브라우저 등장 → 일반인도 사용 가능
[2000s] 초고속 인터넷, 구글, 블로그, Wi-Fi
[2010s] 스마트폰, 클라우드, 유튜브
[2020s~] AI, 위성 인터넷, IoT, 메타버스

https://link.coupang.com/a/cpEcOg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