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Knowledge)/역사(History)

KR 산업 발전 단계별 정리

HiEarth_HH 2025. 4. 13. 01:23

🌾 1. 농업 및 축산업 중심 사회 (1950년대 이전)

  • 🧑‍🌾 특징: 전체 인구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던 전형적인 농업 사회였습니다.
  • 🌱 경제 구조: 1차 산업(농림어업)이 국내 총생산의 40% 이상을 차지하였습니다.

🏙️ 2. 도시화 및 도소매업 성장 (1960~1970년대)

  • 🏗️ 도시화: 정부 주도의 경제 개발 계획으로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었습니다.
  • 🛒 산업 변화: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등 서비스 산업이 성장하였습니다.

⚙️ 3. 중화학공업 및 제조업 중심 (1970~1980년대)

  • 🏭 산업화: 중화학공업화 정책을 통해 철강, 조선, 기계, 석유화학 산업이 발전하였습니다.
  • 📈 제조업 성장: 제조업의 비중이 1960년 6.8%에서 1980년 22.1%로 증가하였습니다.
  • 📺 문화 변화: 70년 후반 대부분의 가정에서 TV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 💹 주식시장 확대: 대기업들 상장 시작 (삼성전자 1975년, 현대차 1974년 등)

💡 4. 전자 및 정보통신 산업 부상 (1980~1990년대)

  • 🔌 기술 발전: 삼성, LG 등 대기업이 전자제품 및 반도체 산업에 진출하였습니다.
  • 🖥️ 정보통신: 통신기기 및 컴퓨터 산업이 성장하며 정보화 사회로의 전환이 시작되었습니다.

💻 5. IT 및 소프트웨어 산업 성장 (1990~2000년대)

  • 🌐 인터넷 보급: 초고속 인터넷 인프라 구축으로 IT 산업이 급성장하였습니다.
  • 🕹️ 소프트웨어 개발: 게임, 보안, ERP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산업이 발전하였습니다.

📱 6. 모바일 앱 및 웹 서비스 확산 (2000~2010년대)

  • 📲 스마트폰 보급: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모바일 앱 시장이 확대되었습니다.
  • 🛵 웹 서비스: 네이버, 카카오, 배달의민족 등 다양한 웹 기반 서비스가 등장하였습니다.

🤖 7. AI 및 디지털 전환 가속화 (2010년대 후반~현재)

  • 🧠 인공지능: AI 기술이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등장하였습니다.
  • ☁️ 디지털 전환: 클라우드, 빅데이터, IoT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산업 구조의 변화가 진행 중입니다.

📈 8. 산업 전망

  •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전환 가속화: AI 기술의 발전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생성형 AI의 등장은 생산, 유통, 소비 과정에 혁명을 일으킬 것으로 보입니다. 
  • 배터리(2차 전지) 산업 성장: 탄소중립 달성 요구와 전동화 산업의 발전으로 배터리 산업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국내 배터리 업계는 소재, 셀, 팩 제조에서 강점을 보이며, 배터리 재활용 및 재사용 부문에서도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 원자력 발전 재조명: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원자력 발전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소형모듈화원전(SMR)이 게임 체인저로 부상하고 있으며, 한국은 원전 강국으로서 SMR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개발과 투자가 필요합니다.
  • 스마트 농업의 부상: 기술과 농업의 융합으로 스마트 농업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생산성 향상과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