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Medical)
의학(Medical) 진료과목 분류
HiEarth_HH
2025. 6. 17. 18:35
🏥 1. 진료과(大科)
의과대학 혹은 병원에서 나누는 주요 진료 과목이야.
내과계
- 내과: 심장, 폐, 위장, 간, 콩팥 등 내부 장기 치료
- 세부 분과: 심장내과, 호흡기내과, 소화기내과, 신장내과, 내분비내과, 혈액종양내과, 류마티스내과, 감염내과 등
- 가정의학과: 전 연령 대상, 만성질환, 예방의학, 종합건강관리
- 신경과: 뇌졸중, 치매, 간질, 두통 등 뇌-신경계 질환
- 정신건강의학과 (정신과): 우울증, 불안, 조현병, ADHD 등
- 재활의학과: 뇌손상·척수손상 이후 재활, 물리치료
- 피부과: 피부질환, 여드름, 아토피, 탈모, 피부종양
- 혈액종양내과: 백혈병, 림프종, 암 항암치료 등
외과계
- 외과: 수술을 통한 장기 치료
- 세부 분과: 일반외과(소화기), 대장항문외과, 간담췌외과, 유방·갑상선외과, 혈관외과 등
- 흉부외과: 심장, 폐, 식도 등 가슴 부위 수술
- 신경외과: 뇌출혈, 뇌종양, 척추 질환 수술
- 정형외과: 뼈, 관절, 인대, 스포츠 손상
- 성형외과: 외상 복원·미용 성형
- 비뇨의학과 (비뇨기과): 신장, 방광, 전립선, 생식기
- 산부인과: 임신, 분만, 여성 생식기 질환
기타
- 안과: 눈, 시력, 안압 등
- 이비인후과: 귀, 코, 목, 후두
- 마취통증의학과: 수술 마취 및 만성통증 관리
- 진단검사의학과: 혈액, 소변 등 검사로 질병 진단
- 병리과: 조직검사, 암 진단 등
- 방사선종양학과: 방사선 치료 담당 (암 치료)
- 핵의학과: PET, 방사성 동위원소 진단 및 치료
- 응급의학과: 응급환자, 외상, 심정지 등
🔬 2. 의학 연구 분야 (기초의학 & 임상의학)
기초의학 (의대 1~2학년 중심)
- 해부학
- 생리학
- 병리학
- 약리학
- 미생물학
- 면역학
- 의학통계학
- 분자생물학, 유전학
임상의학 (환자 진료 중심)
- 위 진료과 기반의 임상 지식과 실습
- 임상시험, 치료 프로토콜 개발, 새로운 약물 적용 등
⚙️ 3. 세부전문의(별) 제도 예시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뒤 추가로 세부 전공을 따는 제도)
- 내과 → 소화기내과별, 심장내과별 등
- 외과 → 대장항문외과별, 간담췌외과별 등
- 정신과 → 소아청소년정신과별
- 정형외과 → 척추외과별, 고관절외과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