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과학(CS, Computer Science)/컴퓨터 과학(CS, Computer Science)
[컴퓨터 과학, CS] 🌐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란?
HiEarth_HH
2025. 4. 9. 23:27
서로 다른 컴퓨터나 장비들이 '정확하고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칙이야.
📬 마치 사람들이 서로 말할 때 공통 언어(예: 한국어, 영어)를 쓰는 것처럼,
컴퓨터들도 정해진 규칙(= 프로토콜) 없으면 아무 말도 못 알아들어!
📦 왜 프로토콜이 필요할까?
- 컴퓨터는 브랜드도 다르고, OS도 다르고, 기능도 다양해
- 그런데 인터넷에서 모두가 연결되어야 하잖아?
- 그걸 가능하게 해주는 게 바로 공통 통신 언어 → 프로토콜
🧱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계층 구조 (TCP/IP 기준)
계층대표 프로토콜설명
응용 계층 | HTTP, HTTPS, FTP, DNS | 사용자와 직접 연결되는 데이터 처리 |
전송 계층 | TCP, UDP | 데이터를 정확히 전달하는 역할 |
인터넷 계층 | IP | 주소 지정 및 경로 설정 |
네트워크 접근 계층 | Ethernet, Wi-Fi | 물리적 연결 (실제 신호) 처리 |
🎮 주요 프로토콜들 설명
1. 🌐 HTTP / HTTPS
- 웹페이지 요청과 응답을 처리 (브라우저에서)
- S는 보안(암호화)을 뜻함
- 예: 네가 https://naver.com을 입력하면 이 프로토콜로 요청이 감
2.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데이터를 쪼개서 전송하고, 순서대로 정확히 도착하도록 보장
- 예: 유튜브 영상, 이메일, 웹페이지 등 신뢰성 필수 데이터에 사용
3. ⚡ UDP (User Datagram Protocol)
- 속도가 중요할 때 사용, 신뢰성은 낮지만 빠름
- 예: 영상통화, 게임, 실시간 스트리밍
4. 🗺 IP (Internet Protocol)
- IP 주소 부여, 데이터를 어느 장비로 보낼지 결정
- TCP/UDP와 함께 작동해서 목적지까지 전달
5. 🧭 DNS (Domain Name System)
-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주소(naver.com) → 컴퓨터가 알아듣는 숫자 주소(223.130.195.95)로 변환
6.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을 서버와 주고받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 예전 웹사이트 관리나 서버 접속할 때 많이 씀
7. 📡 Ethernet / Wi-Fi
- 네트워크 물리적 연결을 담당하는 하위 계층
- 데이터를 실제 전기 신호나 전파로 바꿔서 보냄
📍 프로토콜은 이렇게 함께 작동해!
웹사이트를 열면:
markdown
1. HTTP 요청을 TCP가 패킷으로 쪼갬
2. IP가 목적지 주소 설정
3. 이 데이터가 Wi-Fi/Ethernet으로 물리적으로 전송됨
4. 서버가 응답 → 반대 경로로 돌아옴
🎯 한 줄 요약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컴퓨터끼리 서로 정확하고 안전하게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식 언어 체계'야.
없으면 인터넷은 절대 작동하지 않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